送春(송춘) - 백거이(白居易)
三月三十日(삼월삼십일) : 때는 삼월 삼십 일
春歸日復暮(춘귀일부모) : 봄은 가려하고 해도 다시 지려한다.
惆悵問春風(추창문춘풍) : 추창이 봄바람에 물어보노니
明朝應不住(명조응부주) : 내일 아침에는 이곳에 머물지 않을 거야.
送春曲江上(송춘곡강상) : 곡강 위에서 봄을 보내려니
眷眷東西顧(권권동서고) : 아쉬움에 동서로 돌아보노라.
但見撲水花(단견박수화) : 보이는 것은 물위에 떨어지는 꽃
紛紛不知數(분분부지삭) : 분분하여 그 수를 알지 못하겠다.
人生似行客(인생사항객) : 인생이란 길가는 나그네 같아
兩足無停步(양족무정보) : 두 발은 잠시도 멈추지 않는다.
日日進前程(일일진전정) : 날마다 앞을 향해 나가지만
前程幾多路(전정기다노) : 가야할 길은 얼마나 많이 남았을까.
兵刀與水火(병도여수화) : 전쟁과 천재지변의 재앙을
盡可違之去(진가위지거) : 모두를 피해 갈 수가 있지만
唯有老到來(유유노도내) : 오직 늙음이 다가오는 것은
人間無避處(인간무피처) : 인간으로는 피할 길이 하나 없다.
感時良爲已(감시량위이) : 시절을 느낌을 진정 그만두고
獨倚池南樹(독의지남수) : 홀로 못 남쪽 나무에 기대어본다.
今日送春心(금일송춘심) : 오늘 이 봄을 보내는 마음
心如別親故(심여별친고) : 마치 친구를 보내는 마음 같아라.
'◈ 시·시조·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산아님 오솔길 (0) | 2012.07.06 |
---|---|
황진이 (0) | 2012.01.10 |
이옥봉 詠雪(영설) (0) | 2011.12.12 |
한용운 (0) | 2011.12.02 |
황진이 청산리 백계수야 (0) | 2011.02.25 |